쌀 (rice)
쌀의 도정 방법에 따라 쌀의 구조, 영양소의 변화, 맛과 식감, 그리고 보관 방법에 차이가 생깁니다. 도정이란 벼에서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으로, 쌀의 껍질(겉껍질), 겨층(미강), 그리고 쌀눈(배아)을 제거하는 정도에 따라 현미, 반백미, 백미 등 다양한 형태의 쌀이 만들어집니다. 각 도정 방법에 따른 특징을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현미(겉겨만 벗긴 쌀)도정 정도:벼에서 겉껍질(왕겨)만 제거한 상태로, 쌀의 외부에 있는 겨층과 쌀눈(배아)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영양소:가장 영양이 풍부한 형태로, 쌀의 외부 겨층과 쌀눈에 포함된 식이섬유, 비타민 B군, 미네랄, 지방, 단백질이 풍부합니다. 특히 비타민 E, 마그네슘, 철분 같은 중요한 영양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쌀눈에는 불포화 지방산과 ..
더보기